2007년 7월 18일 수요일

용어정리

1. EPS
-
주당순이익(Earning Per Share)
-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이 값이 높을 수록 투자매력이 있는 기업. 왜냐하면, 이 값은 회사가 1년동안 벌어들인 수익의 주주 몫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볼 수 있다. 이 지표가 높을수록 경영을 잘 했다는 의미가 된다.
- 당기순이익이 늘어나면 지표가 상승하고, 전환사채 발행이나, 증자 등으로 주식수가 늘어나면 지표가 감소한다.

2. 예대율
- 예금 대비 대출의 비율.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임.

3. LTV
- Loan To Value ratio : 주택담보대출비율
- 집의 자산가치를 얼마나 인정해주는지에 대한 비율
- 예를 들어 LTV가 60%라면 시가 2억원짜리 집을 담보로 1억2천만원까지만 대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로 빌릴 수 있는 돈은 이것보다 더 작다.

4. DTI
- Debt To Income ratio : 총부채상환비율
- 연간 총소득에서 주택담보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과 기타부채의 연간 이자상환액을 합한 금액이 차지하는 비율
- 돈을 얼마나 잘 갚을 수 있는지를 따져서 대출한도를 정한다는 뜻.
- DTI 40%라면 연소득 3500만원일때 1400만원을 대출금 및 이자를 갚는데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10년만기 원리금 균등상환(고정금리 6% 적용)으로 할때, 7천260만원 정도를 빌릴 수 있는거다.

5. VAN (Value Added Network)
- 신용카드 중계기관
- 신용카드사와 계약을 한 후 가맹점에 단말기를 공급하고, 계약형태에 따라서 카드 승인 건당 수수료를 받는 기관.
- 우리나라에는 한국신용정보, 금융결제원, 조선무역, 한국모바일페이먼트서비스, KIS, CC케이벤, 나이스정보통신등 10여군데가 있다.
- 신용카드 수수료율이 인하되면 카드사는 VAN사에 카드승인 대행료를 인하해달라고 요청할 가능성이 높다.
 
6. BPS
-  Book-value Per Share : 주당순자산
- 주당순자산(BPS)= (자본총계 - 무형자산 - 사외유출금) / 기말 발행주식수
- 회사의 자산충실도가 주가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측정하는 지표.
- 예를 들어 BPS가 1만원이라는 말은 한주를 가지고 있으면, 그 기업의 자산 1만원을 가지고 있는 것과 동일하다는 의미다.
- 순자산은 대차대조표의 총자본 또는 자산에서 부채(유동부채+고정부채)를 차감한 후의 금액, 즉 장부상의 가치로 회사 청산시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의미.

7. PBR
- Price Book-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 PBR=주가/주당순자산(BPS)
-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 즉,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몇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1주당 나타낸 지표
- BPS가 회사 청산시 주주가 받을 수 있는 장부상의 가치이므로, PBR은 그 가치에 비해 주가가 몇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가 된다.
- PBR이 1보다 작으면 회사 청산시 1주당 받을 수 있는 자산보다 주가가 더 낮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투자할 가치가 있다. 그러나 PBR이 너무 높으면 또 문제가 된다.

8. PER
- 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 주가를 한주당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
- PER 이 높으면 주가가 높은 것이고, 낮으면 주가가 낮은 것이다.
- 회사에서는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이익을 늘리거나 줄여 실적을 발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동일 업종 상대회사의 PER과 비교하면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9. ROE
- Return On Equity
- ROE =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 x 100  (%단위로 표현)
- 기업이 자기자본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지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준다.
-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
- ROE가 높을수록 투자자의 수익율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다.
- 주주의 입장에서 보면 ROE가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기업투자의 의미가 있다. ROE가 시중금리보다 낮다면 투자자금을 은행에 예금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다.


10. 고정이하여신비율
- 은행은 고객의 예금을 받은 다음 그 돈을 이용해 대출을 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리 차이를 이용해서 수익을 창출한다.
- 은행이 돈을 빌려줄때는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의 5 등급으로 나누는데, 고정이하여신은 말 그대로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을 아우르는 말이다.
- 고정이하 여신 비율(%)=(고정이하여신/총여신)*100
-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낮을 수록 은행이 안정적이라는 말이다.
- 2006년 현재 은행 평균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8%, 저축은행은 8%이하라야 건전하다고 판단.


11. NIM(Net Interest Margin: 순이자마진)
- NIM = (자산이용 수익 - 조달비용) / 운용자산 총액
- 금융기관의 수익력을 나타내는 수치
- 음수면 은행이 은행이 예금을 받아 대출할 수록 손해를 본다는 의미

12. FCF (Free Cash Flow : 한 회계기간동안의 순 현금 지수)
- (기업의 영업활동에 의한 캐쉬 플로우 - 설비 투자에 필요한 캐쉬 플로우)
- 장래를 위한 투자나 주주 배당, 채권자 금리 지불 등의 원금이 되기 때문에 기업 실적이나 기업 가치를 판단할 때 중요한 지표

13. WACC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 가중평균자본비용
- 기업의 조달자본 원천별 자본비용을 그것이 자본총계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가중평균한 자본비용


14. 등비급수 합계=초항/(1-등비)


15.QoQ, YoY
- QoQ : Quarter on Quarter의 줄임말, 전 분기를 대상으로 비교 했을 때(전 분기 대비)의 값
- YoY: Year on Year의 줄임말, 전년도 같은 달(月) 대비의 값
 
예를 들어 지금이 2사분기라면 영업이익의 QoQ는 1분기에 비해 얼마나 영업이익이 증가/감소했는가를 의미하고, YoY는 2007년 6월의 영업이익이 작년도 6월 대비 얼마나 증가/감소했나를 의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