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er 자극의 contrast는 Green의 contrast임
threshold는 정답율 75%수준을 보이는 값임.
### Low contrast(0.1) / near disparity(-0.133, lvl 3) adapted ###
- 우선 아래의 history graph를 보면 near disparity를 제외하고는 모두 안정적인 수준에서 coherence level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좌상단이 제일 near disparity를 나타냄
7개의 disparity level 각각의 추정된 coherence threshold history (Blue: before adaptation, Red: after adaptation)
- 각각의 disparity 조건에서 각 coherence 수준에 따라 trial들을 모아서 정답율을 비교한 그래프가 아래에 나타난다. 각 cell에서 x축은 coherence 수준을 log scale로 바꿔서 나타낸 것이고, y축은 정답율이다.
- coherence 별 정답율을 비교해 보았다. before adapt 조건과 after adapt조건 간에 비교한 그래프를 보면 after adapt상황에서 전반적으로 coherence수준이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x axis: correlation value(log scale로 변환한 값), y axis: correct answer ratio
- history data를 이용해서 threshold를 추정한 결과를 보자. history가 안정적인 zone으로 들어가는데 보통 70 trial정도 걸린다고 판단해서 70 trial이후의 data를 이용해서 correlation threshold level을 결정하고 threshold correlation값을 추정했다.
좌측은 correlation threshold level, 우측은 correaltion threshold 값이다.
- 위 그래프를 보면 near 3번째에 adapt시켰을때, adapt전에 비해 correlation threshold 값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특정 disparity에 adpat시켰을때 그 disparity근처에서는 adapt시키기 전보다 더 많은 dot이 특정 depth에 있어야 plain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adapt되기 전의 correlation threshold값이 adapt된 후에 어느정도로 변화했는지 ratio를 구해보았다.
위의 그래프에서 값이 작을 수록 before adapt threshold가 after adapt threshold보다 더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adapter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록 ratio값은 더 작아진다. ratio값이 1에 가깝다는 말은 before adapt threshold가 after adapt threshold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는 의미다.
위 그래프에서는 adapt 시켰던 -0.133 disparity조건에서 ratio값이 굉장히 선택적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near조건에서는 대부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far조건은 adapting disparity에서 멀어질수록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